논문

하루에도 수만개의 글자를 읽고 있습니다. 하루에도 수백장의 종이를 들춰 읽습니다.
이것은 그 읽기에 대한 일기입니다.

Noncontact Infrared Meibography to Document Age-Related Changes of the Meibomian Glands in a Normal Population

[cite]10.1016/j.ophtha.2007.06.031[/cite]

MGD(Meibomian gland dysfunction, 마이봄선 기능 이상)은 안구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눈물막의 이상이나 만성 안건염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최근 들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 안구건조증인지라 이 MGD를 진단하는 방법은 중요한 일이지만 이저는 별다른 기준이 없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infrared 영상을 통하여 이 마이봄선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후로 이 마이봄선을 촬영한 meibography를 이용하여 MGD를 진단하고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논문을 쓴 Reiko Arita는 마이봄선이 존재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연구 방향을 가진 연구자입니다.

Patient and Methods

MGD를 방법에 따라 진단하고 이 진단 결과와 실제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도록 합니다. Meibography는 slit lamp와 infrared transmiting filter, infrared CCD 카메라를 장착하여 얻었습니다. 위와 아래 눈꺼풀을 뒤집어 마이봄선을 관찰하였을 때, 마이봄선의 손상이 없는 경우를 grade 0, 33% 이하의 손실이 있을 경우 grade 1, 66% 이하는 grade 2, 나머지를 grade 3으로 결정합니다. 이 방법을 meiboscore라고 합니다.

Results

Meiboscore와 나이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20대 그룹에서 meiboscore는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나이와 lid margin abnormality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이와 Tear film BUT(Break up Time), Schirmer test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습니다.
Meiboscore는 lid margin abnormality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으나, tear film BUT나 Schirmer test와는 별다른 관계가 없었습니다.

Discussion

마이봄선의 변화는 남녀 관계없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Den el al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40세가 지나야 마이봄선의 변화가 온다고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20대부터 변화가 시작된다고 말합니다.
또한 Meiboscore는 lid margin abnormality score와는 관련있지만, tear film BUT나 Schirmer와는 관련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마이봄선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들 역시 안구건조증과 관련이 있다고 해야할 것입니다.


Add a Comment Trackback